모두의 MLOps(1) MLOps에 첫걸음을 내딛는 분들을 위한 지침서
모두의 MLOps(1) MLOps에 첫걸음을 내딛는 분들을 위한 지침서
MLOps
2021년 가장 뜨거웠던 키워드 중 하나는 MLOps입니다. 그렇다면 MLOps 무엇이고 왜 필요할까요? MLOps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DevOps라고 불리는 개발 방법론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그렇기에 DevOps를 이해한다면 MLOps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DevOps?
DevOps는 Development(개발)와 Operations(운영)의 합성어로 소프트웨어의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s)의 합성어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정보기술 전문가 간의 소통, 협업 및 통합을 강조하는 개발 환경이나 문화를 말합니다.
DevOps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과 운영 조직간의 상호 의존적 대응이며 조직이 소프트웨어 제품과 서비스를 빠른 시간에 개발 및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럼 간단한 상황 설명을 통해 DevOps가 왜 필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비스 초기에는 지원하는 기능이 많지 않으며 팀 또는 회사의 규모가 작습니다. 이때에는 개발팀과 운영팀의 구분이 없거나 작은 규모의 팀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핵심은 규모가 작다는 것에 있습니다. 이때는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접점이 많고, 집중해야 하는 서비스가 적기 때문에 빠르게 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의 규모가 커질수록 개발팀과 운영팀은 분리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의 물리적인 한계가 오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다른 팀과 함께하는 미팅에 팀원 전체가 미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각 팀의 팀장 혹은 소수의 시니어만 참석하여 미팅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런 소통 채널의 한계는 필연적으로 소통의 부재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개발팀은 새로운 기능들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운영팀 입장에서는 개발팀에서 개발한 기능이 배포 시 장애를 일으키는 등 여러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위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 조직 이기주의라고 불리는 사일로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일로 현상은 서비스 품질의 저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사일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DevOps입니다.
Continuous Integration(CI) 와 Continuous Delivery (CD)는 개발팀과 운영팀의 장벽을 해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서 개발팀에서는 운영팀의 환경을 이해하고 개발팀에서 개발 중인 기능이 정상적으로 배포까지 이어질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운영팀은 검증된 기능 또는 개선된 제품을 더 자주 배포해 고객의 제품 경험을 상승시킵니다.
앞에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자면 DevOps는 개발팀과 운영팀 간의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MLOps
1) ML+Ops
MLOps는 Machine Learning 과 Operations의 합성어로 DevOps에서 Dev가 ML로 바뀌었습니다. 이제 앞에서 살펴본 DevOps를 통해 한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MLOps는 머신러닝팀과 운영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그럼 왜 머신러닝팀과 운영팀에는 문제가 발생했을까요? 두 팀 간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추천시스템을 예시로 알아보겠습니다.
Rule Based
처음 추천시스템을 만드는 경우 간단한 규칙을 기반으로 아이템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서 1주일간 판매량이 가장 많은 순서대로 보여주는 식의 방식을 이용합니다. 이 방식으로 모델을 정한다면 특별한 이유가 없는 이상 모델의 수정이 필요 없습니다.
Machine Learning
서비스의 규모가 조금 커지고 로그 데이터가 많이 쌓인다면 이를 이용해 아이템 기반 혹은 유저 기반의 머신러닝 모델을 생성합니다. 이때 모델은 정해진 주기에 따라 모델을 재학습 후 재배포합니다.
Deep Learning
개인화 추천에 대한 요구가 더 커지고 더 좋은 성능을 내는 모델을 필요해질 경우 딥러닝을 이용한 모델을 개발하기 시작합니다. 이때 만드는 모델은 머신러닝과 같이 정해진 주기에 따라 모델을 재학습 후 재배포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을 x축을 모델의 복잡도를 y축을 모델의 성능으로 둔다면 다음과 같이 복잡도가 올라갈 때 모델의 성능이 올라가는 상승 관계를 갖습니다. 머신러닝에서 딥러닝으로 넘어갈 머신러닝 팀이 새로 생기게 됩니다.
만약 관리해야할 모델이 적다면 서로 협업을 통해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지만 개발해야 할 모델이 많아진다면 DevOps의 경우와 같이 사일로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DevOps의 목표와 맞춰서 생각해보면 MLOps의 목표는 개발한 모델이 정상적으로 배포될 수 있는지 테스트하는 것입니다. 개발팀에서 개발한 기능이 정상적으로 배포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DevOps의 목표였다면, MLOps의 목표는 머신러닝 팀에서 개발한 모델이 정상적으로 배포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2) ML -> Ops
하지만 최근 나오고 있는 MLOps 관련 제품과 설명을 보면 꼭 앞에서 설명한 목표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머신러닝 팀에서 만든 모델을 이용해 직접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려고 합니다. 이러한 니즈는 최근 머신러닝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알 수 있습니다.
추천시스템의 경우 운영에서 간단한 모델부터 시작해 운영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자연어, 이미지와 같은 곳에서는 규칙 기반의 모델보다는 딥러닝을 이용해 주어진 태스크를 해결할 수 있는지 검증(PoC)를 선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검증이 끝난 프로젝트는 이제 서비스를 위한 운영 환경을 개발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머신러닝 팀 내의 자체 역량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MLOps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3) 결론
요약하자면 MLOps는 두 가지 목표가 있습니다.
앞에서 설명한 MLOps는 ML+Ops 로 두 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것이였습니다.
반면, 뒤에서 설명한 것은 ML->Ops 로 머신러닝 팀에서 직접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합니다.
References
» 이 글은 마키나락스 미디엄에 게재된 포스팅으로 원문은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